KPT회고: Pickids
KEEP
- 팀원들의 지속적인 소통: 실시간으로 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해결법을 찾기 위해 함께 고민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.
- 프로젝트 주제에 대한 기획단에서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문제점에 대해 깊게 토론할 수 있어 주제를 신중하게 선정할 수 있었습니다.
- 서로의 이해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부족한 부분들을 스스로 찾아 해결하려는 태도가 좋았습니다.
- 문제 해결법에 대해서 해결했다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왜 그렇게 해결했는지 더 나은 방법이 있는지 추후에 어떤 방향으로 해결하면 좋을지에 대해 스스럼없이 이야기하고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프로젝트에 더 깊이 생각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었습니다.
- 지난 프로젝트와는 다르게 github이슈의 역할과 활용에 대해 조금 친숙해질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.
- Figma를 적극 활용해볼 수 있었고, wireframe, userflow 등 다양한 방법으로 회의에 활용할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.
PROBLEM
- 짧지않은 기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시간분배를 제대로 하지 못했고 정해진 스케쥴대로 완료하지 못했던 점이 너무 아쉽습니다.
- 서로의 학습진도와 수준의 상이함으로인해 맡은 부분에 있어 정해진 기간에 기능을 구현하지 못한 점이 아쉬웠으며 지속적인 소통의 중요함을 깨닫게 되었습니다.
- 프로젝트 주제가 다른 팀들과는 다르게 방향이나 전개가 방대한 것은 사실이었으나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를 100% 하지 못하는 팀원이 발생하게 되어 지속적인 이해도 체크가 필요했습니다.
- 서로의 역할에서 백과 프론트가 완전히 나뉘지 못해 프로젝트 중간 서로의 역할이 중복되는 일이 발생했던 것 같습니다.
TRY
- 서버연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서 추후 서로 함께 연결방법에 대해 공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- github Issue를 사용할 때 Future Issue 또는 프로젝트 진행중 발생한 트러블에 대해서도 기록하게 되면 추후 Trouble Shooting에 대해서도 더 깊이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- 본인이 선호하는 부분말고도 프론트, 백에 두루두루 이해하면 좋을 것 같아 서로의 학습방향에 대해 지속적으로 이야기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.
- 시간이 많지 않아 할 수 없었던 코드리뷰도 함께 진행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.
- 서로에게 물어보며 의지하기 보다는 구글링과 스스로 해결점을 찾을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.
'💻 개발블로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특강(1)(20220216) (0) | 2022.02.16 |
---|